본문 바로가기
ALCoB

국제공동수업 사례나눔 한마당 후기 #2024 #서울시교육청

by 5개 국어하는 너구리 2024. 12. 18.
반응형

국제공동수업 사례나눔 한마당 시작!

 

2024년 12월 17일(화).

서울시교육청의 대외협력담당관의 국제협력팀에서 진행한 국제공동수업 사례나눔 한마당을 온라인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진행하였다.

 

국제공동수업을 AI와 연결해서 운영한 것을 좋게 봐주신 덕분에 이번 사례나눔 한마당에서 사례를 나누는 초, 중, 고등학교 선생님 6분 중 한명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본 글에서는 사례나눔 한마당 준비 과정 당일 행사에 관한 내용을 나눠보려 한다.


1. 개요

  • 일시: 2024.12.17.(화) 14:30~17:20(170분)
  • 목적
    • 2024 국제공동수업 우수사례 및 성과 공유를 통해 국제공동수업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발판 역할
    • 온라인 사례나눔 진행으로 공간적 제약을 넘어 재외공관 등을 통한 해외학교 홍보 강화국내외 참여학교 확대
  • 대상
    • 서울: 국제공동수업에 참여했거나 관심이 있는 교직원
    • 해외: 각국 재외공관(한국교육원, 대사관, 영사관), 참여학교(한국인) 등
  • 방법: 온라인 실시간 스트리밍(유튜브)
  • 세부 일정
    1. 인사말씀
    2. 국제공동수업 소개
    3. 사례 발표(6명)
    4. 2025 운영 계획 및 변경 사항 안내
    5. (질의응답은 패들렛을 활용해 수시로 소통)

2. 운영 준비

1) 첫모임(대면 모임)

 

2024.11.18.(월)에 진행된 첫 모임은 다음의 내용으로 진행됐다.

  • 전체적인 개요 살펴보기
  • 사례 발표자별 발표 주제 및 수업 자료 공유
  • 상호 피드백

사례 발표자별 주제 및 교류 국가는 다음과 같았다.

*개인정보 문제로 학교급, 교류국가, 주제만 본 블로그에 공유

발표 순서 학교급 교류국가 주제 발표 제목
1 초등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전반적인 운영 과정 및 팁 국제공동수업 어렵지 않아요!
2 일본 AI 활용 사례 Our Journey with AI
3 중등 우크라이나 수학 교과 운영 사례 열정 in War
4 고등 미국, 뉴질랜드, 네덜란드 글로벌/UN, 대면교류,
MOU 확장
특성화고 국제공동수업 확장 사례 발표
5 그리스, 아제르바이잔 토론, 철학 철학의 발원지와 토론을 시도하다
6 일본(2), 태국(1) 한문, 대입 연계 대학 합격을 이끄는 세특 전략

 

교육청에서 사전에 주제가 겹치지 않게, 특색있게 잡아주셔서 서로의 시너지가 엄청났다😍

2) 두번째 모임(비대면 모임)

2024.11.26.(화)에 진행된 두번째 모임은 다음의 내용으로 진행됐다.

  • 제작한 발표 자료 상호 피드백

내가 받은 피드백은 다음과 같았다.

  • 어느 나라와 어떤 형태로 교류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언급 추가
  • 학생 산출물의 크기를 참여자가 볼 수 있게 키우기
  • AI 도구를 활용한 이유-학생 활동-결과의 연결을 매끄럽게 진행
  • 오탈자 수정

3) 사례 발표

발표 모습 중 일부!

사례 발표를 하기 전 당일날의 준비는 다음과 같았다.

  1. 제출한 발표 자료 최종 확인
  2. 발표 중 PPT, 영상 컨트롤 방법 확인
  3. 방송팀과 시작, 종료 큐 사인 맞추기

발표 중 아쉬웠던 부분은 다음과 같았다.

  • 얼굴이 작게 나온다고 생각해서 화면을 보지 않았던 것

발표를 마친 후에는 함께한 선생님들과 함께 저녁 협의회를 가지며 이번 사례 발표를 마무리했다.

이때 함께 대화나누면서 정말 보물같은 말씀들을 많이 들을 수 있었다.

 

보물같은 말씀 중 일부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일본의 경우 학생 교육원에서 학생들이 숙박할 수 있다. 해외로 학생을 인솔해서 가는 경우 이 곳을 활용하면 안전하게, 저렴하게 숙박할 수 있다.
  • 해외로 학생 인솔을 하는 경우 초등은 업체를 끼고 진행하는 것이 좋겠다. 돌발상황에 대한 대처를 유연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 고등학교는 업체 없이 진행해도 운영 교사의 세심함이 바탕이 된다면 원만하게 진행할 수 있다.
  • 국제교류를 할 때 필요한 것은 단연코 교류 교사들의 열정이다. 단지 업무를 위해 모였다는 생각이 아닌, 함께 좋은 추억을 쌓아하는 친구라는 생각을 하면 더욱 의미있는 국제교류를 할 수 있다.
  • 국제교류 중 예술과 관련된 활동을 포함하면 더욱 풍성한 운영을 할 수 있다. 대표적인 활동으로는 Kpop 노래 부르기 및 춤추기, 각국의 전통 민요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 서로의 학교 및 국가 모습 그림으로 표현하기 등이 있다.

3. 전체 소감

누구나 생각은 할 수 있다.

하지만 생각을 실천으로 이어가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

이번 사례 나눔을 준비하며 생각과 실천의 연결에 대해서 많이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여러 나라가, 전세계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생각하고, 이를 실천으로 이어나가고 있는, 이어나가고자 이번 사례 나눔에 참여하신 훌륭한 선생님들, 교육청 관계자분들과 함께할 수 있어서 뜻깊은 시간이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