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CoB

첫날(2/3)_APEC 미래교육포럼 및 국제 알콥 콘퍼런스 참여 후기 #ALCoB #APEC #2024

by 5개 국어하는 너구리 2024. 11. 21.
반응형

지난 글에서 아래의 내용을 나누었다.

  1. 첫번째 글
    1. APEC 미래교육포럼과 국제 알콥 콘퍼런스란?
    2. APEC 미래교육포럼 중 아래의 내용
      • 식전 영상 보기
      • 귀빈 소개
      • 축하사 요약
      • 귀빈 사진 촬영

https://biquira.tistory.com/134

 

APEC 미래교육포럼 및 국제 알콥 콘퍼런스 참여 후기(1/3) #첫날 #ALCoB #APEC #2024

APEX국제교육협력원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은 다양하다.ASLP(ALCoB 스쿨 리더십 프로그램)ACP(ALCoB 협력프로젝트)APEX, AIV(ALCoB 교육자 교류 프로그램)APLC(ALCoB 교원학습공동체)각 프로그램별 우수사례

biquira.tistory.com

 

이번 글에서는 아래의 내용을 나누려한다.

  • (지난번에 이어)APEC 미래교육포럼 중 아래의 내용
    • 기조 강연
    • 점심 식사
    • 세션1.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포용적 교육 정책

1. 기조 강연

*) Panisa, 국가 고등교육, 과학 연구 및 혁신 정책 위원회 사무국(NXPO) 부서장

(1) 주제: 디지털 혁신과 교육: 포괄적이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로드맵

(2) 내용

  • 노동자와 학습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세계적 경향 5가지   →   더 질 높은 교육으로의 변화가 필요해짐  
    • 다단계 인생(Multistage Life)
    • 파괴적인 기술(Disruptive Technology)
    • 코로나-19(Covid-19)
    • 기후 변화(Climate Change)
    • 불평등(inequality)
  • 더 질 높은 교육으로의 변화 6가지
    • 연령 기반 교육에서 비연령 기반 학습으로의 전환(Age-group to Non-age group)
    • 수동적 학습자에서 민첩한 학습자로의 전환(Passive learners to Agile learners)
    • 학위 중심에서 직업 훈련으로의 변화(Degree to Professional traning)
    • 개별화 교육(Personalized education)
    • 대안 교육 기관(Alternative Education Academy)(Ex. 온라인 기반의 새로운 학습 모델,  사설 교육 제공자, 기업 내 직무 교육 및 리더십 개발)
    • 미래의 직업과 고용 가능성(Future of job & Employability)
  • 세계 인력 시장에서 2025년에 필요로할 직업 20가지 중 5위까지만 표시 
    1. 데이터 분석가 및 과학자(Data Analysts and Scientists)
    2. 인공지능, 머신러닝 전문가(AI and Machine Learning Specialists)
    3. 빅데이터 전문가(Big Data Specialists)
    4. 디지털 마케팅 및 전략 전문가(Dgital Marketing and Strategy Specialists)
    5. 프로세스 자동화 전문가(Process Automation Specialists)

*출처1: WEF(2020), The futura of Jobs report 2020

*출처2: NXPO(2020), Thailand Talent Landscape: Manpower Demands from 12 Target Industries In Thailand(2020-2024)

  • 고숙련 인재 개발을 목표로 한 접근 방식 3가지
접근 방식 개요 세부 내용
정책 문제 해결 -교육(Non-formal Education) 부족
-불평등(Inequality) 문제 해소
수요-공급 매칭 시스템 구축 -공급 측(Supply-side): 교육 기관, 직업 학교, 고등교육 기관
-수요 측(Demand-side): 생산 및 서비스 중심의 작업장
고숙련 인력 개발 메커니즘 -단기: 직업 매칭(Job Matching), 재교육 및 직업향상(Re-skill/Up-skill)
-장기: 특화된 교육과정 설계, 고등교육 샌드박스
예산 재교육 및 기술 향상 투자 -STEM 직업 훈련 지원(Future Skill Training)
-직업 재교육(Re-skill)과 기술 향상(Up-skill) 과정에 대한 재정 지원
기금 및 보조금 -경쟁력 기금(Competitiveness Fund)
-훈련 보조금(Training Grant) 제공
인센티브 세금 혜택 -투자 유치 지원(BOI, Revenue Department)
-성과 기반 인센티브(Merit-based Incentives)
-외국인 투자 유치를 촉진을 위한 경제 및 투자 인센티브 패키지(Thailand Plus Package)
산업 협력을 통한 혜택 -
  • 주요 사업 분야별 육성 방향
영역 중점 기술 및 능력
현대 농업 -데이터 분석(Data Analytics)
-작물 관리(Crop Management)
-가축 관리(Livestock Management)
-수산 동물의 먹이 및 관리(Aquatic Animals’ Feeding and Management)
-분석적 사고(Analytical Thinking)
디지털 마케팅 -소셜 커뮤니케이션을 활용한 마케팅(Social Communication for Marketing)
-분석적 사고(Analytical Thinking)
-광고 제작(Advertisement for Marketing)
-웹사이트 분석(Website Analysis)
-이메일 마케팅(Marketing via E-mail)
-마케팅 전략 기획(Marketing Strategic Planning)
관광 -여행 기획(Travel Planning)
-상품 상업화 및 관광 서비스(Product Commercialization and Tourism Service)
-고객 서비스(Customer Service)
-행사 관리(Event Management)
-위험 관리(Risk Management)
데이터 과학자 -고객 이해(Customer Comprehension)
-데이터 기획 및 준비(Data Planning and Preparation)
-데이터 분석(Data Analytics)
-데이터 시각화(Data Visualization)
전기차 전문가 -전력 시스템 및 구조(Power System and Structure).
-배터리 시스템(Battery System).
-데이터 저장 및 분석(Data Storage and Analytics).
-충전 시스템(Charging System).
-유지보수(Maintenance).

2. 점심 식사

뷔폐 형태로 제공된 맛있는 점심들

 

점심 식사는 Swissôtel Bangkok Ratchada의 4층에서 이루어졌다.

맛있는 점심과 함께, 멋있는 교육자분들과 함께 대화하며 앞서 기조 강연 내용과 앞으로의 내용들에 대해 대화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3. 세션1.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포용적 교육 정책

총 5분의 발표자분들

1) 인도네시아, Fransisca 정책 분석 및 조정 담당자

(1) 핵심 목표와 구조

구분 내용
최종 목표(Goal) 학생들의 기초 역량(foundation competencies) 강화
결과물(Output) 모든 학생들이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보장
변화의 단위(Unit of Change) 교사 리더십, 협력적 반성, 학생 중심의 교수법을 기반으로 학교 시스템 개혁

(2) 주요 정책 영역

  • 교사 연수
    • 온라인 연수를 활성화화여 2023년에만 420만명의 교사가 역량을 개발함
    • 6개월간의 마스터 교원으로의 연수를 이수함
  • 학교장 및 교육 감독관 연수
  • 교수 학습: 국가 커리큘럼 프레임워크와 학습 자원을 기초 역량 중심으로 재설계
  • 평가 및 책임성: 피드백 제공 및 인센티브를 통해 학교 및 학군의 교육 품질 향상
    • 평가 관련 사이트: https://raporpendidikan.kemdikbud.go.id/login
    • 학교용 Rapor Pendidikan:
      • 각 학교의 국가 평가 결과를 제공하며, 개선해야 할 역량에 대한 가이드를 제시
      • 95% 이상의 학교가 연간 계획 및 예산 수립에 이 플랫폼을 사용
    • 지방 정부용 Rapor Pendidikan:
      • 최소 서비스 표준 데이터 및 증거 기반 계획 수립을 지원하여 교육 및 학습의 질을 개선
      • 모든 지방 정부가 이 플랫폼을 도입
    • 인도네시아 전체를 위한 Rapor Pendidikan:
      • 국가, 지방, 시/도 수준에서 요약된 결과를 제공
      • 누구나 접근 가능

(3) 핵심 실행 요소

  • 디지털 기술: 기술을 활용해 학습과 평가를 혁신
  • 이해관계자 협력: 정부, 학교, 지역 사회 간 협력을 통한 목표 달성
  • 비대칭적 및 포용적 자원 제공: 자원의 형평성과 소외 계층 지원 보장

(4) 이번 발표와 관련된 명언 소개

Ki Hajar Dewantara, 인도네시아 교육 개혁자이자 국가 영웅

아이들은 자신만의 본성에 따라 조화롭게 성장하고 번영합니다.
교육자는 그 성장을 부드럽게 돌보고 이끌 수 있을 뿐입니다
-Ki hajar Dewantara-

2) 호주, Janine 교육자 및 한국과 일본의 연구 조언자,  오스트리아 교육 부서

(1) 주제

  •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포괄적 교육 정책

(2) 디지털 자원 접근성을 강화하기 위한 호주 정부가 실행 중인 주요 정책과 투자

  • 신뢰할 수 있고 빠른 인터넷 제공: 호주 정부는 학교 학생들이 신뢰할 수 있고 빠른 광대역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
  • $8.8백만 투자: 학교 연령대 자녀를 둔 적격 가정과 보호자에게 무료로 국가 광대역 네트워크(NBN)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8.8백만을 투자
  • 15,000가구 연결 완료: 현재까지 호주 전역에서 무료 NBN 서비스를 제공받은 가구는 15,000곳에 달하며, 그중 1/3은 농촌, 지역, 외곽 지역에 거주
  • 학생 광대역 계획: 필수 서비스에 처음으로 접근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해 다양한 추가 혜택을 제공

(3) 호주 교육과정에서 디지털 리터러시를 강화하기 위한 주요 전략과 방향

구분 내용
디지털 리터러시의 중요성 -디지털 리터러시는 호주 교육과정(Foundation~Year 10)에서 일반 역량으로 포함되어 있음
-학습 영역과 연계된 콘텐츠를 통해 학생들의 참여를 심화시키고 학습 문맥 내에서 개발하는 것이 이상적
디지털 리터러시의 핵심 요소 -디지털 안전 및 웰빙 실천
-디지털 기술 관리 및 운영
-조사하고 탐구하기
-창조하고 교환하기
학생 지원 방향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데이터를 관리하고 소통하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
-다양한 학업 단계와 학교 이후의 삶에서 협력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지원
-ICT를 자신감 있고 신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시킴
-기술이 개인, 그룹, 커뮤니티에 미치는 가능성, 한계, 영향을 이해하도록 지원

(4)교수 학습 지원

  • 디지털 기술 허브: 교사와 학생들이 디지털 기술 및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 디지털 기술(DT)에 대한 이해를 돕는 자료
    • 계획 및 준비를 위한 가이드와 지원
    • 수업 지도 및 평가 방법
    • 가족을 위한 디지털 기술 자료와 지원
  • 국가 대여 도서관: 최신 디지털 기술 장비를 교실에 통합할 수 있도록 지원.
    • 다양한 장비 및 자료(예: AR, 로봇, STEM 도구 등)를 학교에서 활용 가능하도록 제공.

(5) 지역 및 외곽 지역 사회 지원

  • 지역 스터디 허브: 외곽 및 지역에 거주하는 학생들이 지역 사회를 떠나지 않고도 고등 교육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
  • 허브 위치 및 제공 서비스: 모든 호주 주와 노던 테리토리(Northern Territory)에 위치하며, 온라인 학습을 하는 학생들을 위한 지원 및 캠퍼스 스타일의 시설 제공
  • 현재 허브의 지원 규모: 현재 46개의 허브가 4,000명 이상의 학생을 지원하였으며, 프로그램 시작 이후 12,000명 이상의 학생을 지원.

(6) 인공지능에 대한 대응

  1. 인공지능의 확산:인공지능 사용이 점점 더 보편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장점과 도전 과제가 모두 나타남
  2. 호주의 프레임워크 도입: 학교에서의 생성형 인공지능을 위한 호주 프레임워크(Australian Framework for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n Schools)가 도입되어 현재 시행 중
  3. 포괄적인 지원: 교장 및 관리자, 교사, 공무직, 학부모와 학생, 정책 결정자 모두를 지원
  4. 안전하고 윤리적인 AI 사용: 생성형 인공지능의 안전하고 윤리적이며 책임 있는 사용을 장려하여 최적의 교육 결과를 지원

(7) 추가로 자를 볼 수 있는 사이트

3) 한국, Sumin 대한민국 교육부 글로벌 교육 정책과 수석 부국장

(1) 주제

  • 교실 혁명

(2) 글로벌 및 국내 교육 환경에서의 주요 도전 과제와 기회

구분 내용
글로벌 교육 환경 관련 1.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의 확산
    -기술 혁신이 교육 방식과 지식 전달 방식에 미치는 영향
    -OpenAI(ChatGPT), Microsoft(Copilot), Google(Bard)와 같은 AI 도구의 활용 가능성
2. 새로운 지식의 패러다임
    -기존 지식 전달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형태의 학습과 교육이 요구됨
3. 인간과 전통적 교육의 역할 변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간의 역할과 교육 방식이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
국내 교육 환경 관련 1. 인구 변화와 학생 수 감소:
    -저출산 및 고령화로 인해 교육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수 감소.
2. 고위험 학습 환경과 학생 복지 문제:
    -성과 압박이 학생들의 복지와 학습 동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3. 암기식 학습 및 사교육 의존: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을 저해하는 암기식 교육과 사교육 의존 문제.

(2) 교실 혁신 프레임워크

  • 목표: AI와 함께하는 교사가 주도하는 교실 혁신)을 실현하여 미래 지향적이고 기술 중심의 교육 환경을 구축
  • 핵심 구성 요소
    • 교사 연수: 교사가 AI 및 최신 기술을 활용하여 교실 혁신을 이끌 수 있도록 전문성을 강화
    • 디지털 리터러시와 시민의식: 학생들이 디지털 환경에서 필요한 기술과 윤리적 책임을 배우도록 지원
    • AI 디지털 교과서 개발: AI 기반 교과서를 개발하여 개인화된 학습 경험을 제공
    • 학교 수준의 변화와 혁신: 학교 조직과 문화를 변화시켜 기술 중심의 학습 환경을 구축
    • 지속 가능한 에듀테크 생태계 조성: 교육 기술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생태계를 활성화
    • 글로벌 교육 및 혁신 연합: 글로벌 협력을 통해 교육 혁신 및 모범 사례를 공유

(2-1) 교사 연수

종류 내용
교실혁명 역량 프레임워크 0. 3개 영역, 7개 역량, 21개 지표로 구성.
    -각 역량은 이해(Comprehension), 응용(Application), 반성(Reflection)을 통해 평가.
    -주요 영역 및 역량
1. 기본 영역: 인간 중심의 High-touch High-tech
    -윤리적 실천
    -교육적 맥락 분석
2. 실천 영역: 수업 및 평가 설계, 교재 개발(AIDT 활용).
    -수업 실행(AIDT 활용).
    -평가 및 반성(AIDT 활용).
3. 개발 영역: 전문성 개발
3년 집중 연수 프로그램 1.. 목표: 모든 교사의 역량 강화
2. 기간: 2024~2026년
3. 예산
    -2024년 투자: 약 3818억 원

    -3년 총 예산: 약 1조 원 
    -지역 교육 예산의 4%를 교사 급여를 제외한 고정 비용에 활용.
4. 연수 계획
    -특별 연수: 34,000명의 선도 교사(전체 교사의 6% 대상).

    -일반 연수: 300,000명의 교사(전체 교사의 70% 대상).
     -학교 컨설팅: 12,000개 학교 대상.

(2-2) AI 디지털 교과서 활용

구분 내용
교육 혁신의
핵심 구성 요소
1. 핵심 역량
    -국가 교육과정에 기반한 핵심 역량 개발
    -학생과 교사의 반성과 개선을 통해 교육의 질 향상
2. 수업
    -개념 기반 및 개인화된 학습
    -협력적 학습 접근
    -심화 학습을 지향
3. 평가
    -학습 중심 평가
    -교수 목표와 일치한 프로세스 중심 평가
    -학습자의 피드백 및 성찰을 강조
AI 디지털 교과서의 활용 1. 학습자 데이터 분석 및 맞춤형 학습 설계
2. 학급 평가를 통한 수업의 효과 측정 및 개선
특징 및 목표 1. 반성과 개선
    -교사와 학생이 학습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참여
    -지속적인 자기주도적 학습 및 개선 촉진
2. 심화 학습 및 학습 중심 평가

(2-3)지속 가능한 에듀테크 생태계 조성

  • 목표
    • 학교를 학습 공동체로 전환하여 지속적인 혁신이 이루어지도록 지원
    • 기술과 리더십을 통해 미래 지향적인 학습 환경을 조성하고, 학생과 교사의 디지털 역량을 강화
  • 2가지 차원
차원 내용
학교 차원 1. 지역 주도 디지털 선도 학교
    -모든 17개 교육청 참여: 각 지역의 교육청이 디지털 혁신에 참여
    -2024년까지 1,046개 디지털 선도 학교 운영: 전체 학교의 8.7% 해당
    -최고 사례 공유 및 학교 문화 혁신: 디지털 기술 활용 사례를 공유하여 학교 문화를 개선
2. 강력한 디지털 인프라
    -모든 학생에게 디지털 기기 제공: 학습 도구로 활용
    -유/무선 네트워크 구축: 모든 학교에서 네트워크 접근 가능
    -기술 센터 운영 및 디지털 튜터 제공: 기술적 지원과 학습 보조 제공
학교 리더 차원 1. 변화 관리자 및 리더
    -교사 간 혁신을 촉진하는 역할 수행
    -디지털 기술 도입과 지속적인 학습 환경 혁신 주도.

(2-4) 주요 과제와 교훈

  • AI 시대에 변화하는 교사의 역할 탐색
  • 기술 도입에서 교육적 격차 해소
  • 디지털과 전통적 접근 방식 최적화를 통한 혼합 학습
  • 책임감 있고 목적에 맞는 디지털 기기 사용 지도
  • 학생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안전하고 윤리적인 데이터 활용
  • 효과적인 공공-민간 협력 관계 구축

4) 태국, Panthep,  태국 교육부 국제협력국 다자간 협력 부서 담당자

(1) 주제

  •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포괄적 교육 정책

(2) 교육 수준별 등록률(입학률) 변화

  • 유아 및 초등 교육: 높은 등록률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음
  • 중등 및 고등 교육: 점진적으로 등록률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중등 교육의 증가가 두드러짐
  • 대학 등록률: 감소세를 보이며, 고등 교육으로의 전환률 향상이 필요함

*학교에 단순히 돈을 주는 것은 각 수준별 등록률 변화에 기여하지 않았음. 따라서 돈은 단지 이 문제를 풀기 위한 도구라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돈 뿐만 아니라 다른 요소들도 국가 차원에서 지원해야한다는 것을 느꼈다고 함

(3) 태국의 정부 지출

 

  • 교육 분야 정부 총지출 비율: 2007년 22.7%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2024년에는 13.1%로 최저치
  • GDP 대비 교육 지출 비율: 2009년 4.3%가 최고치이며,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24년에는 2.4%로 최저치

*정부 차원에서 필수 서비스에 쏟는 돈과 퍼센트는 줄어들고 있음. 비즈니스 파트너를 구해서 교육을 함께할 수 있도록 새로운 방법을 강구하고 있음

5) 일본, Yasutaka,  일본 문부과학성 소속

(1) 주제

  •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일본 교육 정책

(2) 변화를 꿰하고 있는 요소

영역 내용
하드웨어 1. GIGA 스쿨 계획: 모든 학생들에게 디지털 기기를 1인 1대 제공
    -추진 기간: 2019년 5명 중 1명(1/5) / 2023년 모든 학생(1/1)에게 기기 제공
2. 유지 보수 기금: 하드웨어의 지속적 유지와 관리를 위한 예산
    -규모: 2조 660억원
3. 인프라
    -도시 및 농촌 지역 모두에서 디지털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및 기술 인프라 구축
    -도시 계획과 협력
    -지역 사회 및 도시 계획과의 협력을 통해 인프라 효율성을 극대화
소프트웨어 1. 국가 교육과정 기준: 새로운 과목 및 콘텐츠
    -디지털 시대에 맞춘 새로운 과목 및 교육 콘텐츠 도입
    -기술 기반 교육을 교육과정에 통합하여 학생들의 미래 역량 강화
2. 교사 연수
    -특히 숙련된 교사들을 대상으로 최신 기술과 교육 트렌드에 대한 역량 향상 연수 진행
    -AI와 디지털 도구 활용 능력을 포함하여 교사의 전문성을 강화
    -디지털 및 AI 교육 시범 학교
3. 빠른 도입 및 문제점 식별
    -디지털 및 AI 교육의 실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범 학교 운영
    -신속히 디지털 교육을 도입하고, 운영 중 발생하는 문제를 파악하여 개선 방안 마련
로지스틱(물류/운영) 1. 신기술 및 새로운 콘텐츠의 교육 내용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교육 콘텐츠 도입
    -최신 기술 활용을 통해 학습자 맞춤형 교육 지원
2. 학습자 중심의 교육 방식
    -교육 방식과 기술을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학습 경험을 현대화
3. 교사의 재량과 데이터 분석
    -지역별 특성과 문제를 고려한 데이터 분석
    -교사들에게 유연한 결정권을 부여하여 지역적 맥락에 맞는 교육 구현(교사의 재량권 부여)

4. 전체 소감

1) 기조 연설에 관하여

  • '더 질 높은 교육으로의 변화' 6가지는 세계적 경향을 반영하였기 때문인지 우리나라에도 적용이 찰떡같이 가능하다.
  • 초, 중, 고등학교 뿐아니라 이미 직장을 얻은 사람과 퇴직한 사람, 모든 연령대를 위해서도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에 대해서 매우 큰 공감을 하였다.
  • 수요와 공급이 맞아야 하는 것은 시장 경제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교육에서도 우리 사회의 수요를 생각하며 공급을 고려하는 것은 교육이 해야하는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다.

2) 세션1.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포용적 교육 정책에 관하여

  • 교육 변환 및 혁신은 세계적으로 거부할 수 없는 흐름이구나.
  • 공통적으로 얘기하는 변화가 필요한 요소는 인프라, 학교 관계자 역량 향상, 학습자 중심의 교육, 소외받는 사람이 없도록 사회적 지원, 평가 방법의 향상 등이 있었던 것 같다. 이 중에서 내가 놓치고 있었던 부분이 있기에 이들을 균형있게 고려하는, 균형잡힌 사람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 우리나라의 교실혁명선도교사단, AIDT 사업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현직 교사들 사이에서 높았다. 하지만 다른 나라의 사례와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디지털 전환 사업을 보니 사업을 구상했을 때 세계의 경향성, 우리 나라의 특수성 등을 고려하는 등 많은 고민이 들어갔다는 것을 다시금 느낄 수 있었다. 부족한 모습이 있을 때 조금 더 성숙한 비판을 위해서는 다른 나라의 사례도 살펴보면서 함께 비교해보는 것도 정말 좋은 성장의 기회가 된다.
  • 어떤 활동을 할 때, 위에서 소개했던 인도네시아 국가 영웅의 명언과 같이 1~3문장 정도로 정리하는 습관을 들여보아야겠다. 빠니보틀님이 자신의 영상을 3문장으로 정리하곤 했는데😊
  • 돈... 참 돈이 문제다. 무슨 일을 하던간에 돈은 참 많으면 많을 수록 좋은 것 같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