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글에 이어 세션2의 3일째의 전반적인 과정에 대해 나눠보려 한다.
*세션1을 포함한 이전 글은 본 블로그의 IB 탭에서 볼 수 있다😍
1. 연수 내용
0) 오늘 연수 개요 안내
- 탐구8: 개념적 이해를 발전시키는 학습 경험을 어떻게 설계할 수 있을까요?
- 탐구9: 내 교실에서 깊은 학습 문화를 어떻게 조성할 수 있을까요?
- 탐구10: 우리가 배운 것을 활용하여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영감을 주며, 변화를 이끌 수 있을까요?
- 탐구11: 우리가 배운 것을 활용하여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영향을 미치고, 영감을 주며, 변화를 이끌 수 있을까요?
*이번 연수의 흐름은 위 탐구 4가지에 정확하게 구분되어 들어가지 않았다.*따라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각 연수 단계를 개인적으로 분류하여 작성했다.
1) Provocation
(1) 다양한 Provocation 체험하며 살펴보기
교실 밖에 준비해주신 다양한 Provocation은 다음과 같은 형태였다.
- 교사가 준비한 신문 기사의 헤드라인을 보고 이 헤드라인들이 어떤 개념에 집중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 교사가 준비한 인포그래픽을 통해 어떤 개념에 집중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 '상호의존성'이란 개념을 알루미늄 호일을 활용해서 표현하기(이때, 학생에게 안내하는 개념은 수업 의도 및 설계에 따라 달라짐)
- 교사가 준비한 다양한 인용문구를 학생의 학습에, 수업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고민하기
- 교사가 준비한 책(그림책 등)을 보고 이 책들은 어떤 개념과 관련있는지 생각하기
- 다양한 교수 전략 살펴보기
전략 | 설명 | 활용 | 예시 |
Concept Dice | 개념이 쓰인 주사위를 굴려 나온 결과를 기반으로 질문이나 탐구 주제를 생성 | 주사위 면에 학습 중인 개념이나 주제를 적어 학생들이 무작위로 탐구할 내용을 정함. | "책임," "정의," "균형" 등 개념이 쓰인 주사위를 사용해 학생들이 자신만의 정의를 정리하고, 토론 자료로 활용 |
Concept Board | 교실 한쪽 벽이나 보드에 학습 주제와 관련된 개념, 그림, 키워드 등을 시각적으로 배치 |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서 주제를 중심으로 한 자료를 모아 시각적으로 정리 | 환경 문제 프로젝트라면, 학생들이 각종 기사, 사진, 통계 자료를 보드에 붙이고 상호 연결성을 탐구 |
Concept Note | 학생들이 특정 개념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노트 형식으로 요약 | 수업 중 개념을 중심으로 한 노트를 작성하게 하여 학습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 | 수업 후 주요 질문, 정의, 사례를 정리하며 자기 평가와 성찰 도구로 활용 |
Concept Categorization | 관련 있는 개념들을 묶어 분류하고, 각 범주 간의 관계를 탐구 | 학생들이 개별적으로 혹은 그룹으로 개념을 분류하며 논리적 사고를 강화 | "지속 가능성" 주제를 다룰 때 "경제," "환경," "사회" 등으로 분류한 후 각 범주의 상호작용을 분석 |
I Used to Think... But Now I Think... | 학습 전후의 관점을 비교하며 학습의 변화를 인식 | 새로운 주제나 개념을 소개한 후, 학습 초기와 마지막에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비교 | "AI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주제를 다룰 때, 학생들의 초반 인식과 학습 후의 성찰 기록 |
Concept Headline | 학습한 내용을 간결한 문장이나 제목으로 요약 | 복잡한 개념을 한 문장으로 정리하며 핵심 아이디어를 도출 | 학생들에게 "이 주제의 헤드라인을 써 보세요"라고 요청해 각자의 관점을 확인 |
Concept, Extend, Challenge | 개념을 정의(Concept), 확장(Extend), 그리고 도전(Challenge) 질문을 통해 심화 학습 | 팀 활동에서 각 팀이 하나의 개념을 정의한 후, 적용 사례를 확장하고, 추가적인 탐구 질문 생성 | "혁신"을 정의한 뒤, 기술 혁신의 사례와 그로 인한 사회적 논쟁 탐구 |
Turn and Talk | 짝을 지어 짧은 시간 동안 학습 내용을 나눔 | 교사가 질문을 던지면 학생들이 짝과 대화를 통해 생각을 정리 | "이 개념이 실생활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까?" 같은 질문으로 짧은 대화 유도 |
Frayer Concept Chart | 개념, 정의, 예시, 비예시를 사분면에 정리 | 어려운 개념을 시각적으로 분해해 이해를 돕는 데 사용 | "민주주의"를 다룰 때, 정의(국민의 지배), 예시(스웨덴), 비예시(독재 국가), 핵심 속성(자유와 평등)을 정리 |
Exit Slips | 수업 마지막에 학생들이 배운 내용, 질문, 감상을 기록 | 수업 종료 전 5분 동안 오늘 배운 점이나 질문을 작성하게 하여 교사가 피드백 제공 | "오늘 가장 어려웠던 점은 무엇인가요?"라는 질문에 답하며 반성적 학습 유도 |
True/False/ Not Sure | 주어진 진술에 대해 학생들이 확신 수준을 표시 | 개념 이해를 평가하거나 학습 초기에 배경 지식을 파악 | "탄소 배출은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에 대해 학생들이 답하고 논의 |
Diamond Display | 개념이나 아이디어를 중요도에 따라 다이아몬드 형태로 배치 | 학생들이 아이디어를 평가하고 가장 중요한 것을 중심에 배치 | 프로젝트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문제를 결정할 때 활용 |
Sketch the Concept | 학습한 개념을 그림으로 표현 | 시각적 학습을 통해 창의적 사고를 촉진 | "진화" 개념을 그림으로 그려 각 단계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
Reflection Journal | 학습 경험과 성찰을 기록 | 매일 또는 매주 학습 과정, 감정, 도전 과제를 기록해 자기 성찰 습관 형성 | "이번 주 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무엇인가요?"를 기록하며 자신의 발전 추적 |
Freeze Frame | 특정 순간을 동작이나 포즈로 표현하고, 이를 기반으로 학습 | 역사적 사건이나 문학 작품의 장면을 재현하며 심층적인 토론 유발 | "프랑스 혁명의 한 순간을 포즈로 재현하세요" 활동 후 그 의미 토론 |
Concept Wall | 교실 벽에 개념, 질문, 아이디어를 시각적으로 표현 | 프로젝트 기간 동안 아이디어를 모으고 관계성을 구축 | 환경 프로젝트에서 "원인," "결과," "해결책"을 포함한 키워드 정리 |
Simulation | 현실 세계의 상황을 모방하여 학생들이 특정 역할을 맡아 문제를 해결하거나 의사결정을 연습하는 활동 | 복잡한 상황을 체험하며 학습 내용을 심화하고 실제 적용 가능성을 탐구함 | 학생들이 가상의 마을에서 상점 주인, 손님, 은행 직원 등 역할을 맡아 시장을 운영. 학생들은 거래를 통해 경제의 기본 개념을 배우고 협상력을 연습 |
(2) 학습한 Provocation을 어제 만든 수업 계획에 접목하기
우리가 이번에 선택한 전략은 Concept Note였다.
이를 바탕으로 팀별 논의를 통해서 아래의 사진 중 오른쪽과 같이 내용을 정리했다.
이 Provocation의 효과에 대해서는 이전 세션에서 배운 내용이 아래에 있어서 이를 함께 살펴보면 좋겠다.
https://biquira.tistory.com/114
(3) 개념적 이해를 심화하기 위한 Provocation 질문의 활용
Provocation 질문은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와 성찰을 촉진하며 개념에 대한 깊은 이해를 유도하는 수업 활동이다. 이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다.
종류 | 목표 | 설명 |
Questioning (질문하기) | 비판적 사고와 반성적 학습을 활성화 | 학생들이 비판적으로 생각하고 자신의 이해를 성찰하도록 개방형 질문을 제시합니다 |
Problem-solving (문제 해결) | 학습 내용을 실생활과 연결시키고 적용 능력을 강화 | 실제 상황의 문제를 학생들에게 제공하여 그들이 지식과 기술을 적용해 해결하도록 합니다 |
Interactive simulations or games (상호작용 시뮬레이션 또는 게임) | 학생들이 추상적 개념을 경험적으로 이해하도록 지원 | 상호작용이 가능한 시뮬레이션이나 게임을 활용해 복잡한 개념을 시각화하고 이해를 돕습니다 |
Visual aids (시각적 보조 자료) | 학생들이 추상적이고 어려운 개념을 시각적으로 정리하고 명확히 이해 | 도표, 차트 및 기타 시각적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복잡한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습니다 |
Collaborative learning (협력 학습) | 협동적 의사소통과 팀워크를 통해 문제 해결 능력 강화 | 학생들이 소그룹으로 협력하여 토론하고 문제를 해결하도록 장려합니다 |
Inquiry-based learning (탐구 기반 학습) | 자기 주도적 탐구를 통해 깊은 사고와 학습 독립성 함양 | 학생들에게 스스로 질문을 하고 답을 찾을 기회를 제공합니다 |
2) 탐구 기반 학습과 개념 기반 학습의 공통점과 차이점
(1) 공통점
내용 | 설명 | 예시 |
학습자의 주도적 역할 | 두 방법 모두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며, 스스로 질문을 하거나 탐구를 주도합니다 | 학생들이 개념이나 주제를 스스로 분석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 포함됩니다. |
깊이 있는 학습 강조 | 단순히 지식을 암기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학습의 깊이를 더하여 개념, 맥락, 또는 실생활과의 연결성을 추구합니다 | 복잡한 개념의 상호작용 이해, 비판적 사고 함양 |
탐구와 비판적 사고의 활용 | 학생들에게 질문하고, 사고하며, 학습한 내용을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하도록 유도합니다 | - |
지식의 전이 가능성 강화 | 두 학습 접근법 모두 학습 내용을 새로운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데 중점을 둡니다. | - |
(2) 차이점
항목 | 탐구 기반 학습 | 개념 기반 학습 |
목적 | 특정 질문과 탐구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학습의 주제를 스스로 찾아가도록 함 | 광범위한 개념과 빅 아이디어(Big Idea)에 초점을 맞춰 학습을 구조화 |
초점 | 학습 과정에서 구체적 질문을 생성하고 답을 찾는 활동에 중점 | 학습의 전이를 위해 추상적인 개념을 중심으로 이해와 응용을 강조 |
접근 방식 | 호기심과 문제 해결을 중심으로 한 자유로운 탐구 과정을 따름 | 토픽이나 맥락을 통해 개념을 탐구하며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과정을 따름 |
활동 방식 | 학생 스스로 질문을 만들어 가설을 세우고, 실험 또는 자료 조사로 답을 탐색 | 빅 아이디어와 관련된 지식 구조를 분석하고 체계적으로 정리 |
결과물의 형태 | 실질적 문제 해결, 실험 결과, 또는 탐구 과정에서 얻은 독창적 아이디어 | 보편적이고 초월적인 지식(개념)을 바탕으로 학습 내용을 요약, 분석 |
3) 소크라테스 대화법
(1) 목적과 유형
소크라테스 대화법을 목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학생들이 논리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를 심화
- 학습자 중심의 질문 환경 조성
- 개별 학생의 사고 과정을 확장하고 자기 성찰 능력 강화
이 대화법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위계를 뜻하는 것이 아님
유형 | 목적 | 예시 질문 |
To Clarify (명확히 하기 위한 질문) | 학생의 발언이나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도록 돕는 질문 | "무슨 뜻인가요?" "다른 방식으로 말해 줄 수 있나요?" "이것이 논의 중인 아이디어/텍스트와 어떻게 연결되나요?" |
To Probe Assumptions (가정을 탐구하기 위한 질문) | 학생들이 자신의 사고 과정에서 내재된 가정을 인식하도록 돕는 질문 | "왜 그렇게 생각하나요?" "그 아이디어를 어디서 얻었나요?" "다른 방식으로 생각해볼 수 있을까요?" |
To Justify and Seek Evide-nce (정당화하고 증거를 찾기 위한 질문) | 학생들이 자신이 한 주장에 대해 근거를 제시하거나 비판적으로 사고하도록 유도. | "예를 하나 들어줄 수 있나요?" "어떻게 그것을 알게 되었나요?" "확실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어떤 증거를 가지고 있나요?" |
To Elicit Other Perspective-s and Viewpoints (다른 관점과 견해를 이끌어내기 위한 질문) | 다양한 관점을 탐구하며, 학생들이 다른 의견을 고려하도록 돕는 질문 | "다른 관점에서 본다면 어떻게 생각할까요?" "만약 당신이 다른 사람이라면, 어떻게 대답했을까요?" "항상 그렇게 생각했나요?" |
To Explore/Reveal Implications and Consequences (함축과 결과를 탐구하기 위한 질문) | 학생들이 자신의 주장이나 아이디어가 가지는 결과를 이해하도록 돕는 질문 | "만약 사실이라면,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요?" "사실이 아니라면, 그 결과는 무엇일까요?" |
To Think About the Question Itself (질문 자체를 생각하게 하는 질문) | 질문의 의미와 목적을 성찰하며 메타인지적 사고를 촉진 | "왜 이 질문을 했을까요?" "이 질문을 더 나은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을까요?" "이 질문이 우리의 사고를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요?" |
(2) 실습
특정 책의 일부 문구를 읽고 팀내 선생님들과 서로 질문하고 대답하는 활동을 했다.
위 내용을 이때 팀내 선생님 중 한분은 관찰자의 역할을 하였다.
(3) 교실에서의 활용
이번 소크라테스 대화법은 학생들과 함께 긴 글을 읽기 전에도 할 수 있는 활동이다.
이와 관련된 영상으로 소개해주신 것은 유튜브에 있는 아래의 영상이다.
https://youtu.be/L11UwpnoSUk?si=q9AQwDdD1PNinNMo
위 내용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말해보면,
Text Graffiti 활동 소개 | Text Graffiti는 읽기 전 활동으로, 학생들의 사전 지식을 활성화하고 이야기를 읽기 전에 단어와 문맥에 대해 생각하게 하여 내용을 준비시키는 방법이다 |
활동 방식 | 학생들은 이야기에서 발췌한 인용문을 읽고, 그에 대해 예측, 해석, 그림 그리기, 단어 강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의 생각을 적는다. 이를 통해 단어의 중요성과 이야기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
교사의 역할 | 교사는 "생각하며 말하기(Think Aloud)"를 통해 활동을 시범으로 보여주며, 학생들이 단어를 선택하고 해석하며 이야기에 대해 개인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지도한다 |
학생 간의 공유 | 활동 후, 학생들은 그룹 내에서 자신의 분석과 해석을 공유하며, 서로의 관점을 듣고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가진다. 이를 통해 주제를 더 깊이 이해하고 자신만의 해석을 확장한다 |
활동의 효과 | 이 활동은 학생들에게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기회를 제공하며, 학생들의 경험과 사전 지식을 연결해 수업 참여도를 높인다. 또한 이야기의 주제와 중심 아이디어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길러준다 |
4) Kath Murdoch의 탐구와 심화 학습 계획에 관한 주요 전략
(1) 전략
- 동료들과 함께 계획하기: 협업을 통해 학습 계획을 수립하여 다양한 아이디어와 관점을 반영
- 개념기반 접근 방식을 사용하기: 학습의 중심을 빅 아이디어나 주요 개념에 두어 학습 내용을 구조화
- 큰 질문을 가지고 탐구를 프레임하기: 학습의 방향을 이끌 주요 질문을 설정하여 탐구 활동을 조직
- 큰 그림을 가지고 탐구 여정을 펼쳐 나가기: 전체적인 학습 목표를 고려하면서 학습 과정이 자연스럽게 진행되도록 유도
- 학생들이 관심과 질문을 가지고 더 나아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학습자들이 흥미를 가진 주제를 더 깊이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
(2) 양식
다음의 내용을 담아 탐구와 심화 학습 계획을 세워나가면 된다.
- 교육과정 성취기준
- 학습 내용
- 학습 목표
- 학습 성과
- 심층 학습 활동
- 학습 결과
- 몇 가지 주요 큰 질문 만들기(매크로 개념 활용)
- 단계별로 사용할 교수 학습 전략
(3) 팀내 제작
4) 이해 중심 학습(Understanding by Design)
(1) Jay McTighe and Harvey Silver의 이론
Jay McTighe and Harvey Silver | |
이해 중심 설계 | -학습 설계를 역방향으로 접근하여, 최종 학습 목표(이해)를 먼저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평가와 학습 활동을 계획 -학습은 단순한 암기가 아니라 지속적이고 전이 가능한 이해를 목표로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 |
6가지 이해의 측면 | -진정한 이해를 위해 학생들은 다음 6가지를 보여야 함 -6가지: 설명, 해석, 적용, 관점, 공감, 자기 인식 -이 6가지는 학습 목표와 평가 설계의 기준으로 활용됨 |
필수 질문 | -학습 과정을 이끄는 열린 질문으로, 학생들이 깊이 사고하고 탐구하도록 유도 -필수 질문은 학습 내용을 연결하고, 지속 가능한 이해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줌 -예: "왜 역사는 중요할까요?", "문학은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
전이 가능한 학습 | -학습은 학생들이 새로운 상황에서 기존 지식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초점 -학습자는 단순한 지식 습득에서 벗어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함 |
효과적인 평가 설계 | -학습 목표에 도달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평가 방식(성찰적 평가, 수행 과제, 관찰 등)을 활용 -평가의 초점은 학생들이 학습한 내용을 이해하고, 응용하며, 새로운 상황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지 측정 |
(2) Bransford, Brown & Cocking의 이론
Bransford, Brown & Cocking | |
선행 지식의 중요성 | -학습자는 기존의 선행 지식을 기반으로 새로운 정보를 연결하고 학습. -학습 활동은 학습자의 사전 지식을 파악하고 이를 확장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함. |
이해의 심화와 전이 | -학습 내용은 단순한 암기를 넘어, 다른 맥락에서 전이(Transfer)가 가능하도록 설계. -학생들이 새로운 상황에서 학습 내용을 응용할 수 있도록 실질적 문제와 연결. |
학습 환경의 설계 (3가지) | 1. 학습자 중심: 개인의 요구와 경험을 반영 2. 개념과 구조 중심: 핵심 개념과 구조를 강조 3. 평가 중심: 이해의 과정을 확인하고 피드백을 제공 |
메타인지와 자기 성찰 | -학습자들이 자신의 사고와 학습 과정을 스스로 점검하고 조정할 수 있는 메타인지 능력을 함양. -예: "나는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가?", "다른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었을까?"와 같은 질문 활용 |
협력 학습과 사회적 맥락 | -학습은 협력적인 환경에서 더욱 효과적이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풍부해짐 -팀 프로젝트, 토론 등 공동 작업을 통해 다양한 관점을 경험하고 사고를 확장 |
(3) 이해 중심 학습을 표현하기
은박 호일을 활용해서 이해중심학습을 표현하고, 이에 제목과 의미를 붙이는 활동을 했다.
이후 돌아다니면서 다른 팀들의 작품도 감상하며 대화하는 시간을 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