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재

2025학년도 융합정보영재교육원(초등) 선발 후기

by 5개 국어하는 너구리 2025. 2. 11.
반응형

2021년부터 지금까지 융합정보 영재교육원 강사를 하고 있다.

2025년에는 이전과 다른 색다른 방식으로 선발을 했는데 그에 관해 글을 적으려 한다.


1. 달라진 점

1) 모집 방법

서울시교육청 소속 영재교육원 지도강사를 통합 모집했다.

*각 교원별로 최대 3개 영재교육원까지 지원 가능

 

이게 무슨 말이냐면,

이전에는 11개 초·중등 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및 융합과학교육원(본원, 남산분원, 동부분원 및 남부분원) 영재교육원별로 각각 알아서 강사를 선발했다.

 

이로 인해 가장 달라진 점은,

이전부터 강사를 하던 교원들은 이후에도 선발이 어느정도 보장된 느낌이 있었는데 이제는 그렇지 않다.

2) 핵심강사 지원

핵심강사는 강의와 더불어 행정적인 절차도 같이 도맡아 하는 것이다.

이 강사에게는 선발에 가산점을 주었다.

*핵심강사 지원은 1개의 영재교육원에만 지원이 가능


2. 지원 방법

1) 서울영재교육 사이트 활용

서울시교육청에서 영재교육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이 사이트에는 다음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 영재교육 안내
  • 영재선발 절차 및 요강
  • 영재상담
  • 영재관련 자료 나눔
  • 공지사항
  • 강사 모집 공고

https://ssei.sen.go.kr/sge/

 

서울영재교육

 

ssei.sen.go.kr

 

이 사이트에서 각 영재교육원 각각의 모집요강도 확인할 수 있다.

2) 제출 서류

서류 종류 내용
공통 서류 추천서(학교장 직인 필수)
강의 계획서
추가 서류 영재원별 상이
(북부영재교육원의 경우 '인사기록 카드,&기타 증빙서류')

3. 강사 선발 기준(영재원별로 상이)

북부교육청을 기준으로 기준과 배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영재교육 강사 경력(15점)
  • 영재교육원 운영(10점)
  • 영재교육 관련 직무연수 이수 실적(15점)
  • 영재교육 및 해당 분야 관련 학위(10점)
  • 지도강사 강의계획서(50점)
  • 핵심강사 지원자 가산점(4점)

4. 선발 Tip

1) 핵심강사에 지원하자

핵심강사 가산점 4점은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 강사경력이 없으면 10점, 4년 했으면 14점이다. 핵심강사 가산점 4점이 있으면 굴러온 돌이 될 수 있다.

 

핵심강사를 지원하는 사람이 적지 않은 수이기 때문에 이들 모두와 함께 영재업무를 나눠서 하면 학교에서 맡는 업무보다 난이도는 확연히 떨어진다. 부담갖지 말고 신청하자.

*2025년 북부교육지원청 융합정보영재원은 지원자 모두 핵심강사에 지원했다

2) 60시간 통으로 된 영재 연수를 이수하자

영재교육 관련 연수를 90시간 이상 이수해야 만점(15점)이다.

30시간짜리 연수를 3개 들어도 이를 충족할 수는 있다.

 

하지만 교육원에 따라, 관례에 따라 60시간 연수를 이수해야하거나 우대하는 경우가 있으니 60시간 통으로 된 연수를 이수하자.

 

60시간 통으로 된 연수 이수를 위한 시험은 오프라인 시험으로 진행된다는 것도 꼭 알아두자.

3) 강의 계획서를 성실히 쓰자

강의 계획서가 전체 배점의 50%에 해당한다.

아무리 다른 요소를 채웠다 하더라도 강의계획서에 따라 떨어질 수 있다.

반대로 다른 요소가 부족해도 붙을 수도 있다.

 

이번에 융합정보영재교육원을 함께하는 선생님들 모두 강의 계획서를 꼼꼼히 적었다.

 

이 강의 계획서를 잘 적을 수 있는 방법은 서울특별시교육청의 초등 영재 표준 교육과정을 활용하는 것이다. 이 자료는 위 '서울영재교육' 사이트에서 찾을 수 있다. 정확한 위치는 "자료마당-교수학습자료"에 있다.

 

위 교육과정 속에서 융합정보는 아래의 영역으로 구성되어있다.

  • 데이터
  • 알고리즘
  • 프로그래밍
  • 인공지능
  • 디지털 문화

이 5가지 영역 모두를 포함해 강의 계획서를 작성한다면 선발 확률이 높아질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