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듀테크

Google Gemini Academy Teacher Trainer 첫 모임

by 5개 국어하는 너구리 2024. 7. 26.
반응형

 

Google Gemini Academy Teacher Trainer 첫 모임이 24.7.26.(금)에 있었다.

이전 싱가포르에서 있었던 Google Symposium 때 Google Singapore 본사에는 갔었는데, Google Korea 본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우선 들어왔을 때부터, 가장 감동적이었던 부분은 간식😍

 

그리고 인상 깊었던 건 명찰 패용 방식.

굉장히 간결하면서도 지속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명찰인 것도 흥미로웠다.

 

이번 킥오프에서 있었던 내용을 간략히 정리해보고자 한다.


1. 식순

  1. Welcome
  2. JA Korea 소개
  3. Gemini Product 소개
  4. Gemini Academy 소개
  5. Coffee Break
  6. Gemini Academy Module 7 실습
  7. *Super Searcher
  8. Gemini Academy Teacher Trainers 활동 안내
  9. Google Korea Tour

*Super Searcher이란? Hallucination 문제(생성형 AI가 거짓을 진실인 것 처럼 말하는 현상)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특히 학생들의 검색을 돕기 위함


2. Gemini에 대한 내용 정리

1) 업무협업 솔루션과 AI의 결합

Google Workspace(Gmail, Sheets, Docs 등)를 Gemini와 함께 활용

2) Gemini 학생 버전도 출시될 예정

현재는 Gemini가 만 18세 미만은 사용할 수 없다는, 연령제한 문제로 인해 초, 중, 고등학교에서는 활용할 수가 없다.

하지만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학생 버전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한다.

연령 제한을 어떻게 재설정할지는 조금 더 기다려봐야할 것 같다.

 

Google Workspace를 관리할 수 있는 Admin(관리 콘솔)에 들어갔더니, 지금도 Gemini를 구독할 수 있다.

*하지만 24.7.26.(금)의 기준으로는, 영어만 지원하고 있다.

 

관리콘솔-결제-더 많은 서비스 사용하기

 


3. Super Searcher에 대한 내용 정리

1)  정의

  • 검색 엔진을 사용하고 그로부터 얻은 정보의 정확성을 판단하는데 자신이 있는 사람

2) 습득 목적

  • 보다 효율적으로 검색하기
  • 검색에 비판적으로 접근하기

3) 사전 준비

  • Google App 설치

4) 흐름

  1. 가짜 정보를 Yes/No로 구별하기
  2. 직접 검색하며 검색엔진에 물어보는 질문 고도화하기
    • 질문/찾고자 하는 내용 인지하기
    • 알맞은 정도로 구체적이게 입력하기
  3. 검색 결과 페이지 전체를 확인하기
  4.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했을 경우 검색어를 재정비하기

5) 함께 언급하면 좋을 이야기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관장 사항) ← '지니'에 비유
  • Mike Caulfield의 SIFT 방법론(정보문해력을 향상하는 4가지 방법) ← '코난'에 비유
    • 정지Stop 
    • 출처 검토Investigate the Source 
      • 암시적 출처: 이미지/주장이 가장 처음 발원한 곳, 출처의 주소, 다른 곳에 사용된 적이 있는지, 출처의 주소
      • 명시적 출처: 저자/작성자, 출판사/언론사, 날짜, 참고문헌 및 인용
    • 범위 재정비Find better coverage
    • 원문맥 확인Trace Original Context

4. Teacher Trainer에 대한 내용 정리

1) 활동 목표

  1. Gemini를 통해 AI 리터러시 향상
  2. 안전하고 책임감 있게 Geminin 사용하기
  3.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을 체험하고 기회를 제공하고 과제 탐색
  4. Gemini를 창의성, 생산성 및 업무경감을 위한 유용한 도구로 활용하는 방법

2) 교사 대상 연수 커리큘럼

추후 Google에서 커리큘럼 및 PPT를 제공할 예정이다.

여기서 언급한 내용 중 Google AI원칙을 조금 더 살펴보면,

  1. 사회적으로 유익할 것
  2. 불공정한 편견을 만들거나 강화하지 않을 것
  3. 안전성을 우선으로 설계되고 테스트할 것
  4. 인간을 위해 책임을 다할 것
  5. 개인정보 보호 설계 원칙을 적용할 것
  6. 과학적 우수성에 대한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
  7. 구글 AI원칙에 부합하는 용도로만 활용할 것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Google 공식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blog.google/intl/ko-kr/company-news/technology/ai-principles-kr/

 

구글 AI 원칙

이 블로그는 구글 AI 사이트(영문)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구글의 원칙구글은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고 일상에서 사람들을 돕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구글은 현재와 미래의 세대에게

blog.google

3) 추후 할 일

(1) 연수 자료 수정

기존에 제작된 Google Gemini 자료를 실제 학교 상황에 맞게 수정하면 된다.

다른 외부 기업 도구를 활용하며 연수를 진행하기 보다 Gemini에만 초점을 두는게 좋겠다.

 

프롬프트를 6가지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실제 사례를 넣는 것도 괜찮겠다고 느꼈다.

  • 수업 이해도 점검
  • 교과과정 수립
  • 교수-학습 전략
  • (자기 성찰) ← 이 부분은 이번 킥오프에서 비교적 작은 비중으로 다룸
  • 전문성 향상
  • 행정 업무

(2) 강의 진행

프롬프트를 입력할 때,

'나는 초등학교 선생님이야'와 같은 문구보다 '너는 초등학교 선생님이야'와 같이 입력이 필요하다.

개인의 정보가 학습될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걸 듣는 선생님들이 안전하게 사용하되, 너무 걱정을 하거나 꺼려하지 않게 균형을 잡는게 필요하다.

(3) 추후 흐름

  1. 연수 이수
  2. 각 지역별 교육 진행
    • 교육대상: 현재 재직중인 교원 누구나
    • 최대 진행 한도: 월 최대 3회 연수 가능 *필요시 내부 보고용 공문 신청
    • 시간 및 연수생 수: 회차당 2~4차시, 10인 이상 교육(10명 미만 실시할 때, 사전에 JAKorea와 협의)
    • 해당 연수 이수생 혜택: 구글 교육전문가 과정 1단계 응시 바우처 제공
  3. Trainers Summary 작성 및 연수생 만족도 설문(Google Forms 형태)
    • 연수생 얼굴이 전부 나오는 단체 사진 1장
    • 연수생 모습이 포함된 수업 진행 모습 1장
  4. 우수 강사 선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