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는 한 줄이 중요하다.
평소 열심히 했다고 하더라도 공식적으로 인정되는 내용이 아니라면 인정받기 어렵다.
그래서 몇년전부터 다양한 자격증을 따려고 취득했고, 취득한 자격증 목록은 아래와 같다.
- 초등교원 1정 자격증
- 빅데이터분석기사
- 데이터분석준전문가
- KT AICE Associate
- Google Certified Trainer
- JLPT N3
이후로도 다양한 자격증을 따며 스스로의 역량과 활동 범위를 넓히려고 노력 중이다.
그 일환 중 하나로 이번 뤼튼의 "생성 AI 활용 능력" 자격증을 취득했다.
그 취득 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1. 자격증 시험 일정 확인
1) Wrtn Learning 홈페이지 확인
아래의 홈페이지에는 자격증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다.
물론, 시험 일정도 포함되어있다.
https://wrtnlearning.imweb.me/34
Wrtn Learnings
(주)뤼튼테크놀로지스의 교육 및 자격증 응시 접수 사이트
wrtnlearning.imweb.me
2) Wrtn 사용자 커뮤니티 확인
뤼튼 공지사항, 웨비나 자료는 물론, 사용자들간의 교류를 포함하고 있는 사용자 커뮤니티가 있다.
아래의 사이트에 이번 자격증 일정도 올라와있다.
공지사항 | Wrtn Community
Explore 공지사항 space in Wrtn Community
wrtn.circle.so
3)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도 뤼튼에서 공식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그런데 어떻게 들어갔는지 그 루트를 못찾겠...😂
2. 자격증 시험 방법
1) 시험 응시료
- 50,000원
2) 시험 문항 및 합격 기준
총 60문항(평균 80점 이상시 합격)
- 생성 AI와 언어모델(20문제)
- LLM의 활용과 한계(20문제)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초(20문제)
3) 시험 준비물
- 노트북(듀얼 모니터 X)
-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거치대
4) 시험 응시 형태
- Wrtn Learning에서 원격으로 접속(전체 화면 공유)
- 스마트폰 Monito어플로 시험 응시 모습 송출(무릎, 노트북, 상체 모두 나와야함)
3. 시험 공부 방법
위 Wrtn Learning 홈페이지에 과정이 모두 올라와있다.
영상만 살펴봐도 시험 합격이 충분히 가능하다.
*세세한 부분도 나오기 때문에 꼼꼼히 내용을 살펴보아야 한다.
*예를들면, 각 기업별 LLM의 서비스의 종류를 맞추는 문제도 나옴.
강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생성 AI의 개념
- 생성 AI의 발전과정과 미래전망
- 언어모델의 개념
- 언어모델의 종류
- 생성 AI 활용 서비스
- LLM의 핵심 기능
- LLM의 활용 방법
- LLM의 문제와 한계
- LLM의 한계 극복 방법
- AI 윤리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초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법(1)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법(2)
- 프롬프트 작성 예시
4. 전체 소감
1)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에 대해 전반적 이해가 가능하다
시험 응시료 5만원이 아깝지가 않았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할 수 있도록 강의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 모호하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에 대한 이해가 중심이 잡힌 느낌이다.
좋은 책, 강의를 보았다고 생각하기에 응시료가 아깝지 않았다.
2) 실제성있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능을 익힐 수 있다
이번 시험은 필기로만 구성이 되어 있었다.
그래서 '실제성이 없는거 아냐?'라는 의문이 들었었다.
하지만 강의 내용은 이론과 더불어 실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법 및 활용 방법, 구체적 예시를 담고 있었다.
앞으로 개인적으로도, 학생들과도 함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더욱 깊이 있게 할 수 있겠다.
3) 강의 시간이 적절했다
이 부분이 너무 좋았따.
동영상 강의의 시간은 각각 5~10분 내외로 구성되어있었다. 짧은건 3분 이내이기도 했다.
이해하기에 짧은 시간일 수 있었으나 필요한 내용만, 간결하고 쉬운 어조로 풀어냈기에 초심자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었다.
4) 자격증을 잘 활용해보자
지금까지 취득한 자격증은 정말 다채롭게 잘 활용하고 있다.
이번에 취득한 Wrtn 생성 AI 활용 능력 자격증도 적극적으로 잘 활용할 수 있게 노력하고, 전략을 잘 세워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