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서울시교육청에서 처음 도입된 국제공동수업 교사 연구회에 우리 팀이 선정되었다.
이번 글에서는 다음의 2가지를 나눠보려 한다.
- 본 사업에 대한 소개
- 우리 연구회가 제출한 계획서
이후 글에서 대표자 협의회 후기를 적어보려 한다.
1. 국제공동수업 교사 연구회란?
출처: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협력담당관] 2025 국제공동수업 교사연구회 지원 계획 및 공모 안내(2025. 4. 1.)
1) 추진 배경
- ‘국제공동수업 연구회’운영 지원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요구
- “연구정보원의 교원학습공동체에 국제공동수업 주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음
- 지난 5년간의 국제공동수업 다양한 수업 사례와 콘텐츠가 축적되었으나 사례의 분산, 콘텐츠 중복, 체계화 부족 등의 한계 존재
2) 추진 목적
- 국제공동수업의 지속적 확산 및 활성화
- 참여 교원의 수업 및 글로벌 역량 강화와 네트워크 구축
3) 운영 개요
- 지원 규모: 총 10개 내외 교사연구회(최종적으로 15개 연구회 선정)
- 지원 예산: 연구회당 150만원 내외 균등 지원 예정(최종적으로 100만원 지원)
- 연구 주제: 국제공동수업에 관한 모든 사항
- 연구 기간: 2025. 5. ~ 2025. 11.
- 연구회 구성
- 서울특별시교육청 관내에 현재 재직 중인 교원
- 연구회별 최소 5인 이상(1인 1연구회 참여 가능)
- 동일교 교원은 50% 이하로 구성
- 국제공동수업에 참여한 교원 최소 1인 이상 포함(과거에 국제공동수업에 참여했거나 ‘25에 참여 신청 한 교원)
4) 심사 기준
2. 우리 연구회가 제출한 계획서
1) 계획서 전체
2) 계획서 제작에 신경 쓴 내용
계획서 제작에 신경 쓴 부분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회의 추진 배경, 목적, 심사기준
- 다른 연구회와 공통적으로 가져갈 요소: 다양한 주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국제교류 사례 제작 및 공유
- 다른 연구회와 차별적으로 가져갈 요소
- 예술: 기악합주, 합창, 댄스, 아카펠라, 공예, 애니메이션
- 교내외 사업과 연계: 초등예술하나, 합창 축제, 교내 동아리, 지역연계 중점학교, 한일학생 AI활용 그림그리기 대회 등
- 강사 초청 및 컨설팅 시기: 연구회 처음 시작하는 5월, 중간 시기인 7월, 보고서를 다듬을 시기인 10월
다짐
부족함이 많겠지만 우리 연구회의 계획서를 공유한 이유는 이번 국제공동수업 연구회의 목적 달성을 위함이다.
- 국제공동수업의 지속적 확산 및 활성화
- 참여 교원의 수업 및 글로벌 역량 강화와 네트워크 구축
앞으로도 부족함이 많을 우리 연구회의 모습들을 공유해 나가려 한다. 그리고 다른 연구회와도 지속적으로 소통하여 위 두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해보려 한다☺️
반응형